이동식 크레인 양중하중 안정성 검토, 실무 계산까지 완벽 정리!

이동식크레인,크레인하중검토
으뜸 빈팀장's avatar
May 08, 2025
이동식 크레인 양중하중 안정성 검토, 실무 계산까지 완벽 정리!

이동식 크레인 안정성 검토, 실무 계산까지 완벽 정리!

인양 능력과 지반 지지력을 수치로 검토하는 방법


🔎 왜 이동식 크레인 작업은 '계산'까지 필요할까?

“기종만 잘 고르면 되지 않나요?”
많은 현장 관리자들이 이렇게 말하지만, 이동식 크레인 작업에서의 전도사고는 대부분 기초적인 계산 누락에서 발생합니다.

크레인은 수십 톤에 달하는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장비입니다. 이 무게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면 전도, 붕괴, 인명 사고로 직결되죠.
따라서 단순히 감이나 경험이 아닌, 수치 기반의 안정성 검토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이동식 크레인 양중작업의 안정성 검토 지침(KOSHA GUIDE C-99-2015)」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꼭 필요한 계산 중심의 안정성 검토 방법을 쉽고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 핵심 키워드

  • 이동식 크레인

  • 인양능력 계산

  • 지반 지지력

  • 접지하중

  • KOSHA GUIDE

  • 크레인 전도 방지

  • 건설기계 안전


1. 이동식 크레인, 어떤 사고가 생기나?

이동식 크레인 작업 중 발생하는 전형적인 사고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고 유형

주요 원인

전도(넘어짐)

허용 하중 초과, 지반 침하

붐 파손

과도한 반경, 바람에 의한 흔들림

아웃트리거 불안정

고임목 미사용, 지반 지지력 부족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려면, 인양능력과 지반 지지력을 숫자로 검토해 허용 범위 내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2. 인양능력 검토: 어떻게 계산할까?

✅ 기본 개념

  • 정격총하중(Gross Load): 붐 길이와 작업반경 기준 최대 인양 가능 무게

  • 정격하중(Net Load): 정격총하중에서 훅, 로프, 달기구 중량 제외

✅ 검토 절차

  1. 인양물 무게 확인 (W₁)

  2. 붐 길이 및 작업반경 측정

  3. 기종별 인양하중표 확인

  4. 조건별 보정치 적용

    • 기울기 1% 이상 → 20% 감산

    • 풍속 초속 5~10m → 20% 감산

✅ 예시 계산

  • 붐 길이: 16m

  • 작업반경: 7m

  • 아웃트리거 최대 전개 (7.3m) 상태
    → 인양하중표 기준: 정격총하중 20.9톤

주의: 실제 하중은 여유 있게 설계해야 하며, 기울기나 바람 등 동적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3. 지반 지지력 검토: 접지하중과 허용지지력 비교

✅ 최대 접지하중(Pmax) 산정 공식


✅ 지반조사 없이 추정할 경우 (건축구조기준 별표8)

지반 종류

허용지지력 (MPa)

자갈층

0.2~0.3

사질토

0.15 이하

점토, 매립지

0.1 이하

→ 연약 지반에서는 반드시 철판 보강고임목 설치 필요!


4. 철판 보강 시 휨·전단 검토


🎯 결론: 수치는 생명입니다

이동식 크레인의 안정성 검토는 수치 계산 없이 말로만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없는 작업입니다.
계산은 어렵지 않습니다.

  • 하중은 단순 곱셈과 표 참조,

  • 지지력은 면적 나눗셈,

  • 휨·전단은 간단한 공식으로 충분히 정리됩니다.

현장에서 이 내용을 토대로 검토를 수행하면,
사고 예방, 책임 회피, 법적 준수까지 모두 가능해집니다.

Share article

정부공인 안전진단전문기관 / 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으뜸안전기술(주) 031-429-0479 help@edsafety.co.kr